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59

2025학년도 수시 전형 수험생 여름방학 동안 꼭 해야 할 것 고3 1학기 기말고사가 마무리되면서 여름방학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3 수험생에게는 쉴틈이 없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에 앞서 수시전형 지원도 본격적으로 준비를 해야 합니다. 고3 수험생이 여름방학 동안 꼭 해야 할 일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학년도 수시전형 수험생 여름방학 동안 꼭 해야 할 것들 1. 학생부 최종 점검 기말고사가 끝났다고 1학기가 끝난 것은 아닙니다. 수시 지원을 위한 3학년 학교생활기록부는 8월 31일에 마무리됩니다. 학생부를 검토하는 시점은 빠를수록 좋으며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이 있다면 남은 기간을 활용해 최대한 보완할 방법을 찾아봐야 합니다. 학생부를 볼 때는 먼저 출결, 창체활동(자율/동아리/진로/봉사활동), 세특사항 등 기재 사항들을 꼼꼼히 살피며.. 2024. 7. 15.
2025학년도 수시전형에 수능최저기준 신설 - 연세대, 한양대 연세대와 한양대가 2025학년도 수시 학교추천전형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신설했습니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합격의 전제 조건이어서 기준에 충족하기만 하면 합격 가능성이 크게 올라간다는 의미입니다.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의 중요성과 연세대학과 한양대의 각 과목 등급컷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의 중요성 수시전형 지원 시 수능최저학력기준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매년 많은 수험생들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불합격합니다. 고려대의 경우 2024학년도 전형 결과 679명을 모집하는 학교추천전형에 6,998명이 지원해 10.31 대 1의 경쟁률을 보였지만, 이 중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한 수험생은 57%로 절반이 조금 넘었습니다. 최초 지원자 6,998명 중 3,989명만.. 2024. 7. 12.
내신 극복할 수 있는 수시 전형 공략법 교과 성적은 수시 전형 합격의 중요한 변수로 꼽힙니다. 내신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 대다수가 정시로 눈을 돌리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정시에만 올인하기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부담이 큰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학생들은 내신에서의 불리함을 일부 상쇄할 수 있는 수시 전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수시 전형 공략법 1. 일부 교과만 반영하는 대학 공략하기 학생부교과전형은 수시에서도 특히 내신 성적의 영향력이 매우 큰 전형입니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도권 소재 대학의 경우 교과전형에서 국어·영어·수학·사회 또는 과학 교과에 대해 석차등급이 산출되는 전 과목을 반영하는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몇몇 대학에선 전 과목이 아닌 일부 과목만 반영해 성적을 산출합니다. 가천대는 지역균형전형의 교과 반영 방법을 크게 변경.. 2024. 7. 11.
2025학년도 초등교육과(교대) 수시전형 안내 예전에 비해 교사라는 직업의 인기가 많이 떨어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교사는 청소년들의 선호 직업군 중 하나입니다. 초등교육과는 임용 지연 문제, 교권 관련 문제 등으로 최근 몇 년 사이 인기가 다소 하락하긴 했지만, 입시업계에서는 이런 분위기가 오히려 교사를 지망하는 수험생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2025학년도 초등교육과 수시 전형의 주요 사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초등교육과 ‘학생부종합전형’ 전국 13개 초등교육과의 학생부종합전형 선발 인원은 총 2,225명(정원 외 포함)으로, 전체 수시 선발 인원의 90%를 차지합니다. 수시전형으로 초등교육과에 진학하려는 수험생은 학생부종합전형 위주로 지원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1단계에서 학생부만으로 평가하고.. 2024.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