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입전형 준비/교육정보27 현 고2 대학입학전형 특징, 2026학년도 전형별 변경사항 2026학년도 대입은 수시전형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이 늘어나고, 정시전형에서 학생부 반영이 늘었습니다. 현 고2 학생들은 학생부와 수능 모두 신경 써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2026학년도 서울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전형별 변경사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6학년도 서울 주요 대학 전형별 변경사항 1. 학생부교과전형 2025학년도 한양대에 이어 2026학년도에는 서울시립대가 교과전형 정성평가 반영 대학에 합류했습니다. 서울시립대의 2026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은 ‘교과성적(정량평가) 90% + 정성평가 10%’로 이뤄집니다. 정성평가에서는 학생부 교과영역을 중심으로 학업역량(학업성취도, 진로 및 전공분야 탐구에 적합한 교과이수 및 학습 등)을 평가합니다. 이화여대는 2026.. 2024. 8. 20. 2025학년도 수시전형 지원 대학 선정 기준 2025학년도 수시 지원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3월부터 7월까지의 모의고사 성적을 기준으로 정시 지원 대학을 선정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삼아 수시 지원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이 꼭 써야만 하는 곳과 최소 특정 대학 이상을 가야 한다는 기준을 정하고 공격적이거나 보수적으로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2025학년도 수시전형 지원 대학 선 기준 1. 모의고사 결과로 지원 대학 정하기 대부분의 수험생은 수시 지원을 결정할 때 교과 성적이나 학교생활기록부의 완성도를 기준으로 삼지만, 수시 원서 6장 외에 정시 원서 3장까지 염두에 둬야 합니다. 최상의 결과를 위해선 자신의 수능 경쟁력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준점으로 삼아야 합니다. 결국 수시 지원 로드맵의 출발점은 수능 경쟁력입니다. 수능 경쟁력이란.. 2024. 7. 24. 고등학교 여름방학 활용법, 고 1학년, 2학년, 3학년 장마가 끝나가고 무더위와 함께 여름방학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짧은 기간이지만 다소 부족했던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고등학교 1학년은 학습 습관을 기르는 게 중요하고, 2학년은 입시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고등학교 3학년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에 집중하면서 수시전형 준비도 시작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중요한 시기이니 잘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고등학교 1학년 – 학습습관 기르기 고등학교 1학년은 학습 태도를 재정비하고 학습 습관을 들이는 것을여름방학의 기본 목표로 삼아야 할 때입니다. 내신이든 수능이든 결국 학습의 습관과 경향성을 가지고 있어야만 입시에서 성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학년은 내신이나 수능 중 어떤 것을 선택해서 집중할 것이 아니라 학습 태도를 재정비하는 것.. 2024. 7. 17. 2025학년도 수시 전형 수험생 여름방학 동안 꼭 해야 할 것 고3 1학기 기말고사가 마무리되면서 여름방학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3 수험생에게는 쉴틈이 없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에 앞서 수시전형 지원도 본격적으로 준비를 해야 합니다. 고3 수험생이 여름방학 동안 꼭 해야 할 일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학년도 수시전형 수험생 여름방학 동안 꼭 해야 할 것들 1. 학생부 최종 점검 기말고사가 끝났다고 1학기가 끝난 것은 아닙니다. 수시 지원을 위한 3학년 학교생활기록부는 8월 31일에 마무리됩니다. 학생부를 검토하는 시점은 빠를수록 좋으며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이 있다면 남은 기간을 활용해 최대한 보완할 방법을 찾아봐야 합니다. 학생부를 볼 때는 먼저 출결, 창체활동(자율/동아리/진로/봉사활동), 세특사항 등 기재 사항들을 꼼꼼히 살피며.. 2024. 7. 15.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