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입전형 준비/학과정보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학과소개 및 커리큘럼, 2023학년도 입시결과

by 그저그런하루 2024. 1. 19.
반응형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는 재료학과와 재료공학과를 갖춘 4년제 학부로, 재료의 성능과 특성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곳입니다. 재료공학부는 50여 년의 역사와 다양한 교육/연구 사업을 토대로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최고급 인재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의 학과소개 및 커리큘럼과 2023학년도 입시결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게요.

 

 

부산대 재료공학부 커리큘럼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재료공학

 

재료공학은 인간의 요구에 맞는 재료의 설계•합성•부품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경량•고강도 소재로 부터 초내열 소재, 고효율 에너지 소재, 환경 소재, 스마트 소재, 바이오 소재 등에 이르기까지 현대 인간 사회는 다양한 고성능, 고기능 재료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영화 속 캐릭터 아이언 맨은 구조재료 기술 (경량, 고강도 합금 수트), 극한 재료 기술 (초내열 합금 부츠 및 초고압 재료), 에너지 재료 기술 (고효율 발전), 환경 재료 기술 (촉매/담체 기반 정화 장치), 스마트 재료 기술 (디스플레이, 센서 등 전자 소자) 등이 집약된 재료공학 기술의 미래라 할 수 있다.

 

원하는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해, 재료 내부 조직 (원자, 분자 등) 을 효과적으로 제어해야 하므로, 재료공학은 물리, 화학, 수학 등 기초 과학에 기반을 둔다. 또한, 물리, 화학 등 기초 과학의 발견이 인류 생활을 크게 변화시키는 신소재 발명으로 이어진 경우도 많은데, 극저온에서 전기 저항이 0 이 되는 초전도 현상의 발견 (K.K.Onnes, 1911)에 기인한 "초전도 재료", 반도체 고체 물질에서 전류 흐름의 원리 규명 (W.Shockley, 1947) 이 바탕이 된 "반도체 재료", 나노 영역에서의 재료의 신특성 발견 (R.Feynman, 1950)에 기인한 "나노 재료", 전기장 내 절연체의 표면 전하 유기 발견 (E.G.von Kleist, 1745)에 기인한 "커패시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 밖에 백열등과 형광등을 대체할 LED 조명, 경량 자동차용 소재, 대기중의 이산화 탄소를 활용하여 만든 고분자 소재, 투명함과 전도성을 동시에 가지는 투명 전도성 소재, 생물 기능을 모방한 소재 등이 현재 연구 중이거나 미래에 유망한 재료들로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교육목표(연구 및 교육지원)

 

  • 기초 과학과 공학지식에 대한 이론과 실험 교육을 병행하여 현장적응 역량을 극대화한다.
  • 재료공학 문제를 도출, 분석, 종합하여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극대화한다.
  • 재료공학 전문지식과 최첨단 신기술, 다양한 산업분야의 기술을 접목시켜 창의적인 기술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극대화한다.
  • 국제 환경변화에 적응하고, 지역사회의 요구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극대화한다.

 

국가 및 지역 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인재 양성

 

 

21세기 무한 경쟁 시대에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과학기술분야에서 우위를 갖는 것입니다. 재료공학은 모든 산업의 근간이 되므로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 국가들이 오래전부터 소재 산업을 기간산업으로서 육성하고 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소재 설계, 제조 및 부품화 기술이 취약하여 이로 인한 무역 적자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국가적 요구를 반영한 재료공학 교육의 지향점은 소재의 설계, 제조 및 부품화를 담당할 수 있는 고급 소재 인력을 양성하여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입니다.

 

또한, 부산을 비롯하여 인근 울산, 창원, 마산, 포항 및 구미 등 영남지역에 산재한 공업단지 내의 산업체들은 소위 강소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핵심 기술을 개발할 소재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재료공학 교육의 지향점은 관련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갖춘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졸업 후 진로 (최근 3년 평균)

 

졸업 후 진로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커리큘럼

 

재료공학부 커리큘럼 1

 

재료공학부 커리큘럼2

 

 

 

부산대학교 2023학년도 재료공학부 입시결과

 

2023 학년도 수시 입시결과

 

논술전형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교과종합등급
평균 70% 표준편차
재료공학부 15 23.47 3.83 4.10 0.65

 

 

학생부교과전형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교과종합등급
평균 70% 표준편차
재료공학부 15 11.0 2.23 2.32 0.17

 

 

[교과] 지역인재전형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교과종합등급
평균 70% 표준편차
재료공학부 8 17.25 2.35 2.37 0.09

 

 

[교과] 농어촌전형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교과종합등급
평균 표준편차
재료공학부 3 4.67 2.56 0.30

 

 

학생부종합전형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교과종합등급
평균 50% 70% 표준편차
재료공학부 10 12.30 2.43 2.38 2.62 0.28

 

 

[학종] 사회배려자전형 1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교과종합등급
평균 50% 70% 표준편차
재료공학부 5 4.40 3.35 3.27 3.27 0.29

 

 

2023학년도 정시(나) 입시결과

 

모집단위 모집인원 경쟁률 교과/수능등급
평균 70% 표준편차
재료공학부 39 3.26 2.60 2.75 0.29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