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기원 신소재공학부는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학부 중 하나로, 신소재의 기초과학, 제조방법, 물성, 응용 등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는 곳입니다. 신소재공학부는 1997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16명의 교수와 200여 명의 학생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신소재공학부의 연구분야는 나노소재, 유기소재, 에너지소재, 바이오소재, 복합소재 등 다양하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학과소개 및 커리큘럼과 2023학년도 입시결과 등 광주과기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광주과기원 신소재공학부
첨단 산업을 선도할 인력의 양성
산업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소재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나, 최근의 신소재 개발 속 도는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나노과학기술 등 국제경쟁에서 뒤지지 않고, 새로운 산업과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신소재에 대한 더욱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한다.
광주과학기술원의 신소재공학부에서는 신소재분야의 주역을 담당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석사 및 박사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신소재공학부의 교수는 각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과 연구경험을 바탕으로 엄선하여 선발되었다. 각각의 교수는 개별 연구와 협력 공동 연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대학원생을 지도하여 첨단산업을 선도할 연구 인력의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신소재공학부는 석 박사 과정의 대학생들에게 풍부한 연구경험을 쌓게 하기 위하여 연구에 필요한 최첨단 실험 장비와 시설, 지원시설을 확보하고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부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교수와 학생들이 합심하여 국가발전과 인류복지 향상을 위한 신개념 소재 창출과 교육의 산실이 되는 세계 속의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를 만드는데 있다.
연구분야
광.반도체소재 연구분야
NT/IT 분야에서 디스플레이와 차세대반도체 사업과 연계된 연구 수행 나노전자소재 연구분야
나노스케일의 소재 및 소자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개념의 나노소재 및 소자 개발
유기정보소재연구분야
NT/IT 분야에서 디스플레이사업과의 연계를 중점적으로 추진, 유기물 트랜지스터 및 발광소자 기술 등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실용적 연구 수행
에너지소재 연구분야
인류가 당면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수소전지, 연료전지 및 태양 전에 대한 연구 수행
생체의료용소재 연구분야
BT/NT 분야에서 고분자 생체재료, 생체적합성 재료, 초분자집적체, 생분해성 고분자 및 수화젤을 이용하여, 조직공학, 생체기능성 나노소재, 약전달 시스템, 단백질 및 유전자 전달 시스템 등, 의료기술과 관련된 분야에 응용하는 연구가 진행
신소재공학부 커리큘럼
신소재공학부(전자재료분야)
신소재공학부 고분자재료분야
신소재공학부 2023학년도 입시결과
-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는 2023학년도에 정원 60명 중 수시 30명, 정시 30명을 모집하였습니다.
- 수시모집에서는 정원 30명 중 29명이 합격하였으며, 합격컷은 1.6등급이었습니다. 경쟁률은 10.3 : 1이었고, 추가합격자는 없었습니다.
- 정시모집에서는 정원 30명 중 30명이 합격하였으며, 합격컷은 1.7등급이었습니다. 경쟁률은 11.8 : 1이었고, 추가합격자는 없었습니다.
'대입전형 준비 > 학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학과소개 및 커리큘럼, 2023학년도 입시결과 (0) | 2024.01.19 |
---|---|
2023학년도 간호학과 수시등급, 정시 표준점수, 취업률 기준 대학순위 (0) | 2024.01.19 |
경희대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학과소개 및 커리큘럼, 2023학년도 입시결과 (0) | 2024.01.18 |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학과소개 및 커리큘럼, 2023학년도 입시결과 (0) | 2024.01.17 |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학과소개 및 커리큘럼, 2023년 입시결과 (0) | 2024.01.17 |
댓글